- Today
- 27
- Total
- 3,399,347
목록WEC (131)
Route49
모터스포츠 트리플 크라운에 한걸음 다가서나요? 르망 24h 우승을 노리고 있는 페르난도 알론조가 토요일에 열린 WEC 데뷔전 스파6h에서 우승에 올랐습니다. 흔히 WEC의 LMP1을 가르켜 '무게가 조금 더 나가는 F1'이라 하지만 두 카테고리의 레이싱 머신은 물론 레이스 포맷은 전혀 별개의.. 아니 전혀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양쪽에서 모두 성공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닌데 알론조는 어떤 레이스건 빠르게 적응하고 있네요.우선 알론조의 WEC 데뷔전 우승소감을 들어볼까요? "정말로 훌륭한 데뷔였다. 레이스에서 우리는 모든 랩을 리드했다고 생각한다. 세이프티카가 3번 발동되며 어드밴티지를 잃었지만 마지막 랩까지 포지션을 잘 지켜냈다. 첫 내구 레이스 챔피언쉽에서 환상적인 데뷔였다. 팀은 훌륭..
제목만 보면 '어.. 이게 무슨 소리?'라고 생각하실지도 모르겠네요. 포르쉐의 WEC LMP1 머신인 919 하이브리드가 벨기에 스파 서킷 데모랩에서 F1 레이싱카보다 빠른 랩 타임을 기록했다는 소식 입니다.포르쉐 919의 스파 랩 타임은 무려 1:41.7로 2017 벨기에 그랑프리에서 루이스 해밀턴의 기록인 1:42.553보다 앞서는 기록이며 지난해 WEC 스파6에서 919가 세웠던 폴포지션 기록과 비교하면 무려 12초나 빠른 놀라운 기록 입니다. 드라이버는 닐 야니였고 최고속도는 348km/h 였다고 하네요.여기까지만 보자면 포르쉐가 LMP1에 무슨 짓을 했나 궁금하지요? 실제 레이스를 달리는 LMP1이 아니라 '트리뷰트 투어'라는 포르쉐의 이벤트를 위해 제작된 특별한 LMP1이 사용 되었습니다. 이..
아우디와 포르쉐가 WEC(LMP1) 철수를 선언하며 이제 남아있는 LMP1(하이브리드)은 사실상 토요타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토요타가 철수하지 않고 버티면 결국에는 르망24 우승과 WEC 챔피언을 모두 확보하겠지만 경쟁자가 사라진 무대에서 왕이 되어봤자 무슨 소용이 있나는 모르겠습니다. 포르쉐가 WEC 철수 선언하고 포뮬러 E 진출을 선언하며 LMP1의 위기가 더욱 불거지기는 했지만 사실 LMP1의 위기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하이브리드를 도입하며 LMP1에 들어가는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했고 F1에 육박하는 예산을 필요로 하게 되었습니다. ACO와 FIA는 비용절감을 위한 대책을 내놓았지만 닛산, 아우디를 잃었고 포르쉐도 떠난다는 선언을 했습니다. 이런 와중에 맥라렌의 보스 잭 브라운이 L..
얼마전 LMP1을 그만두고 포뮬러 E에 진출하겠다는 선언을 한 포르쉐가 F1까지 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포르쉐가 F1으로 복귀할 것이라는 루머는 이미 오래된 주장이기 때문에 새로울게 없지만 이번에는 포르쉐측에서 아예 부인하지는 다르네요. 우선 LMP1 프로그램 포기를 선언했지만 관련 인력을 모두 남기는게 하나의 단서인가요? LMP1 인력을 포뮬러 E로 돌릴 수도 있지만 전기 파워트레인을 사용하고 스탠다드 섀시를 사용하는 포뮬러E에서 LMP1 인력의 역할은 제한적이기는 합니다. 포르쉐 연구개발 총괄 미하엘 스타이너의 Auto Motor und Sport 인터뷰 입니다. "우리는 이 모든 사람들이 미래에 필요하다. LMP1에서 대단했던 팀은 강한 동기부여가 되어있고 엄청난 지식을 쌓았다. 때문에..
WEC에서 성공적인 시즌을 이어가고 있던 포르쉐가 LMP1을 포기하고 2019년부터 포뮬러 E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메르세데스가 DTM 대신 포뮬러 E를 하겠다고 발표한게 얼마되지도 않았는데 이번에는 포르쉐가 포뮬러 E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이로써 아우디, BMW, 메르세데스-벤츠에 이어 포르쉐도 포뮬러 E에 뛰어들게 되며 폭스바겐 그룹은 WEC에서처럼 아우디와 포르쉐가 경쟁하겠습니다. 포르쉐 이사회의 미하엘 스타이너는 "포뮬러 E에 참가하고 이 카테고리에서 성공하는 것은 우리의 미션 E 로드카 프로그램의 당연한 결과물이 될 것이다. 포뮬러 E의 기술적인 자유도가 높아지고 있는게 매력적이었다. 우리에게 포뮬러 E는 친환경 고성능 차량의 개발에 있어 가장 좋은 환경이다"라고 말했습니다 포르쉐가 7월 말에..
2018년부터 WEC와 IMSA에서 사용될 BMW M8 GTE가 독일 라우시츠링에서 첫 트랙 테스트를 가졌습니다. BMW는 지난 5월에 GTE 도전의사를 밝혔고 곧 출시될 8 시리즈로 IMSA와 WEC 도전을 선언했습니다. M8 GTE의 첫 트랙 테스트에는 BMW의 워크스 드라이버인 마틴 톰칙과 맥심 마틴이 함께 했습니다. 톰칙은 "우선 BMW M8 GTE의 첫 레이스 트랙 테스트에 나서게 되어 영광이었다. 재미있었다. BMW M8 GTE는 처음부터 운전하기 좋았다. 드라이버가 다루기 쉬웠다. 우리는 많이 달렸고 데이터를 많이 모았다. 우리는 퍼포먼스와 관련된 첫 걸음을 걸었다. 이런것은 첫 테스트에서 달성되지 않는 것들이다. 다음 테스트에서 우리는 더욱 집중적으로 일할 것이고 라우시츠링 테스트를 바탕으..
이게 참.. 제가 왠만한 뉴스는 거르고 가는데 이건 그냥 넘기기가 힘드네요. 포르쉐의 F1 복귀설 또 나왔습니다. 레드불링에서 마크 웨버와 브랜든 하틀리가 포르쉐 팀웨어를 입고 레드불을 만날때 '포르쉐 복귀설'이 나왔을때는 가뿐하게 넘겼는데 제가 신봉하다시피 하는 Auto Motor und Sport에서 나온 말이라면 제 입장에서는 무게감이 다르게 느껴지네요. Auto Motor und Sport의 미하엘 슈미트는 포르쉐의 F1 복귀여부가 7월말에 결정될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일단 들어볼까요? "포르쉐 이사회가 앞으로 수년간의 모터스포츠 전략을 정할 것이다. 거기에는 몇가지 방법이 있다. WEC를 계속 하거나 포뮬러 E에 참전 또는 F1에서 엔진 제작사가 되는 것이다. 2가지 이상의 조합도 가능하다." ..
야심차가 르망 24시간 내구레이스(이하 르망24) 타이틀을 노렸던 토요타이지만 2년 연속 비극으로 끝나자 그리 좋은 감정이 아닌가 봅니다. 토요타의 GM 히사타케 무라타가 3번째 토요타를 두고 '낭비'라는 표현을 했습니다. 토요타의 3번째 LMP1.. 그러니까 #9 TS050 하이브리드가 되겠지요? #9은 니콜라스 라피에르, 호세 마리아 로페즈, 유지 쿠니모토가 드라이버로 나섰고 퀄리파잉에는 포르쉐에게도 밀리며 #7과 #8에 비해서는 레벨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8이 프런트 모터에 문제가 생기며 개러지를 내리고 2시간 동안 모터와 배터리를 교체해야 했고 우승이 유력했던 #7은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 사건으로 클러치 문제가 터지며 리타이어 했습니다. 제대로 달리고 있었던 토요타는 #9..
지난 주말 르망 24시간 내구레이스에서 3년 연속 우승에 오른 포르쉐가 레드불링에서 열리는 오스트리아 그랑프리에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독일 Auto Bild가 전한 소식인데 포르쉐가 F1 엔진 미팅에 참석하다는 소리가 전해지니 자연스레 포르쉐의 F1 참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포르쉐의 F1 참전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포르쉐가 F1 엔진 미팅에 참석하는게 포르쉐가 원했다기 보다는 F1측에서 초청을 했고 포르쉐가 받아들인 형국이라고 하니 일단 포르쉐가 적극적으로 F1 2021 엔진을 알아보기를 원하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그저 '무슨 소리 하나 일단 만나나 보자'라는 심산이 아닌가 싶습니다. 또한 포르쉐가 속해 있는 폭스바겐 그룹은 여전히 디젤 게이트의 여파에서 빠져..
2017 르망 24시간 내구레이스(이하 르망24)에서는 흥미로운 사건이 있었습니다. 대폭 줄어든 LMP1들은 여러가지 이유로 리타이어 하거나 개러지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졌고 그 사이 잭키찬 DC 레이싱의 LMP2가 레이스를 리드하는 초유의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LMP2는 LMP1에 비해 랩당 최소 10초 이상 느리기 때문에 결국 포르쉐 LMP1(#2)에게 추월 당했지만 어쩌면 LMP2가 르망24에서 오버롤 우승을 거머쥐는 상상불가의 드라마가 펼쳐질뻔 했습니다. 성룡(잭키찬)은 이를 비유해 '오스카 수상 같다'라고 말하기도 했는데 저 역시 비슷한 느낌이었습니다. 레이스는 #2 포르쉐(LMP1)이 우승을 했고 1랩 밖에 뒤지지 않았던 잭키찬 DC의 #38이 2위, 1위에 3랩 뒤진 #13 레벨리온이 3위에 ..
르망의 여신은 토요타를 좋아하지 않는 모양입니다. 올시즌 사상 최초로 르망 24 내구레이스(이하 르망24) 승리를 기대하던 토요타는 불운에 울고 포르쉐가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24시간 레이스의 중반까지는 토요타의 세상이었습니다. 아우디의 불참으로 LMP1 사이의 경쟁이 크게 줄어들었고 포르쉐 역시 WEC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를 동결하는 사이 토요타는 르망24에 3대의 차량을 내보내며 르망 타이틀을 노렸습니다. 2017 시즌은 그야말로 토요타의 세상이었습니다. 1-2라운드에서 연속우승을 거두었고 르망24 퀄리파잉에서는 레코드를 깨며 1-2위를 기록했습니다. 그렇지만 결과는 포르쉐의 3년 연속 르망24 우승으로 끝났습니다. 운이 없다 없다 이렇게 없을수도 있나 싶을 정도 입니다. 지난해에는 레이스를 리드하다..
올시즌 쾌조의 스타트를 보이고 있는 토요타가 2017 르망 24h(이하 르망24)에서도 강력한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습니다. 르망24 퀄리파잉에서 토요타의 #7 카무이 고바야시가 1985년 한스-호아킴 스턱의 평균속도까지 넘어서며 랩레코드를 경신하는 압도적인 페이스로 폴포지션을 차지했습니다. 아우디가 철수했고 포르쉐만 넘어서면 르망24 우승이라는 타이틀을 가져올 수 있는 시즌이니 토요타가 2017 시즌 페이스를 올리고 있는 가운데 역시나 폴포지션은 토요타의 차지였습니다. 고바야기사 Q2에 세운 기록은 팀메이트 세바스티앙 부에미의 기록보다 2.3초 이상 빠른 기록이며 1985년 한스-호아킴 스턱(포르쉐)의 평균속도 기록인 215.815km/h를 넘어서는 215.9km/h를 기록 했습니다. 토요타는 퀄리파잉에..
포뮬러 E의 최강팀인 르노 e.DAMS가 닛산 e.DAMS로 이름을 바꾸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르노의 포뮬러 E 엔트리를 닛산이 이어 받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지난해부터 닛산이 포뮬러 E를 원하고 있고 닛산은 전기차를 가장 많이 판매하고 있는 회사이며 르노와 닛산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동맹을 맺고 있는 관계이니 그럴듯한 관측입니다. Motorsport는 관련 소식을 전하면서 닛산 대변인이 '추측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라고 말했다고 하는데 비니지스 언어에서 이건 '협상이 오가고 있다'와 다르지 않았던 경우가 많았지요? 그렇다면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요? 꽤 높아 보입니다. 일단 르노쪽 입장에서 보자면 르노는 2016년엔 1.5억 파운드(약 2,200억원)을 썼고 그중 절반 이상인 8천만 파..
이걸 잘했다고 해야할지 비난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LMP1 하이브리드에 남겨진 2개팀인 포르쉐와 토요타가 2020년까지 섀시 개발을 하지 말자는 이른바 '신사협정'을 맺었다는 소식입니다. 아우디가 철수하자 LMP-1 하이브리드에는 포르쉐와 토요타만 남게 되었는데 이제 둘만 남았으니 비용을 줄이겠다는 말이 되겠지요? 포르쉐의 프린서펄 안드레아스 세이들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현재 우리는 토요타, FIA, ACO와 함께 2020년 규정을 논의하고 있다. 푸조도 이 협상에 참여했다. 2019년 말까지 우리는 (토요타와) 모노코크를 유지하기로 신사협정을 맺었다. 2018-2019년까지 지금의 모노코를 사용한다." "두 모노코크에서 에어로 자유도나 무게에서 큰 차이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게 협정의 이유다. ..
모그룹 폭스바겐의 디젤 게이트 여파는 WEC에서 역사를 만들고 있던 아우디 모터스포트에도 영향을 주었고 지난해 10월 결국 WEC 철수를 선언했습니다. 21세기에 들어 르망 24h에서 가장 성공적인 팀이며 최근에는 포르쉐에 다소 밀리는 양상을 보였지만 만만치 않은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아쉬움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지요. 아우디가 포뮬러 E에 집중하며 WEC를 포기한 측면이 없지는 않지만 그렇다해도 아쉬움이 줄어들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아우디의 LMP1이 WEC에서 계속 달렸을 수도 있었다는 소식입니다. 미국의 전설적인 레이싱팀 팀 펜스키(펜스키 레이싱)가 르망 24h를 위해 아우디에 LMP1 섀시를 두고 협상했지만 아우디가 거절했다고 하네요. 로저 펜스키의 말을 들어보겠습니다. "나는 우리..
불과 얼마전까지만 하더라도 F1의 위상까지 위협했던 LMP1(르망-WEC)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닛산이 내구레이스 복귀를 선언했을때만 하더라도 다시 LMP의 전성기가 오는가 싶었지만 닛산은 제대로 달려보지도 못하고 철수해 버렸고 아우디는 모그룹 폭스바겐의 디젤 스캔들의 여파로 WEC를 떠나는 결정을 내려야 했습니다. 2017 시즌 LMP1(하이브리드 LMP-1H)에는 포르쉐와 토요타만 남게 되는데 이제는 토요타도 WEC를 떠날 수도 있다는 경고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유는 ACO와 FIA가 비용절감을 이유로 하이브리드를 약화시키는 방향을 고려중인데 이에 반발하는 것입니다. 하이브리드 로드카에서 선구자인 토요타로서는 당연한 반응이겠지요? 토요타 모터스포트의 기술감도 파스칼 바셀론이 Autosport와 한 인..
맥라렌이 르망 24h 복귀를 고려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론 데니스가 밀려난 자리에 오른 잭 브라운은 Autosport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은 사실을 밝혔습니다. 맥라렌의 르망 복귀 움직임이라.. 확정단계는 아니지만 꽤나 흥미로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브라운의 말을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르망에서 우승 했었고 레이스는 우리의 역사다. 내가 맥라렌에서 하는 일 중 하나가 맥라렌이 어떤 레이스를 해야하는지 결정하는 것이다. 르망으로 돌아가는 것은 우리가 확인하고 논의하고 있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우리가 르망에서 달리는 것을 보고 싶고 이것은 나 혼자만의 생각이 아니다." Autosport에 따르면 맥라렌이 르망으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맥라렌 그룹차원의 지원이 필요로 하며 로드카 디비전인 맥라렌..
모터스포츠계의 풍운아 로버트 쿠비차가 WEC 시트를 확보했습니다. F1에서 미래의 챔피언으로 평가받으며 성장 중이었지만 2011 시즌을 앞두고 마이너 랠리에 출전했다가 죽을 고비를 넘겼던 쿠비차는 F1으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재활 끝에 랠리에서 성공적인 모습을 보였고 WRC에서도 활약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재정부족으로 자신의 WRC 팀을 운영하기 힘든 상황을 맞이했고 2016 시즌에는 몬테카를로 랠리 이후 출전하지 못했습니다. 쿠비차는 서킷 레이싱 복귀를 선언했고 뮤겔로 12h, 르노 스포트 트로피, 두바이 24h 등에 출전해 다시 감을 잡기 시작했고 지난해 11월에는 바레인에서 WEC 테스트를 받기도 했습니다. 결국 2017년에는 LMP1의 바이콜스에서 달리게 되었습니다. 쿠비차의 말을 들어..
토요타가 WEC 스파와 르망에 3번재 차량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2016 르망 24h에서 우승이 눈 앞에 다가온 순간, 마지막 랩에 들어서며 피니쉬 라인에서 에어 커넥터 문제로 멈추며 절치부심했던 토요타가 결국 WEC에 3대의 LMP를 투입하네요. 12월에 결정한다고 했었는데 조금 늦어졌습니다. 팀 수장 토시오 사토는 이에 대해 "나는 이것이 토요타 내구 레이싱에 있어서 매우 흥분되는 시간이라 믿는다. 스파와 르망에 3대의 차를 출전시키는 것은 팀에게는 새로운 도전이다. 열심히 준비해서 우승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토요타가 르망에 3대의 차량을 내보내는 것은 1999년 이후 처음 입니다. 아우디는 WEC에서 철수를 했고 포르쉐는 오래전에 3번째 차량 출전 계획이 없다고 밝혔기 때문에..
역시 시간은 잘도 갑니다. 모터스포츠의 특성상 겨울에는 레이스가 힘들기는 하지만 랠리부터 시작해서 2017년에도 모터스포츠는 계속 됩니다. F1을 비롯한 전세계 주요 모터스포츠 이벤트의 일정을 월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제가 자주 보지 않는 미국쪽의 인디카와 나스카는 제외했습니다. 2017년 1월2-14일 다카르 랠리20-22일 WRC 몬테카를로 2017년 2월10-12일 WRC 스웨덴18일 FE 부에노스 아이레스 2017년 3월10-12일 WRC 멕시코26일 F1 호주 그랑프리26일 MotoGP 카타르 2017년 4월1일 FE 멕시코 시티2일 블랑팡GT 스프린트 미사노7-9일 WRC 코르시카9일 F1 중국 그랑프리 9일 MotoGP 아르헨티나16일 F1 바레인 그랑프리16일 WEC 실버스톤 6h22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