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101
- Total
- 3,374,326
Route49
리버티 미디어, F1 그랑프리 늘릴 수도 본문
CVC로부터 F1의 최대주주 자리를 사들인 리버티 미디어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얼마전에는 인터넷 스트리밍을 언급하더니 이번에는 그랑프리를 늘릴 수도 있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리버티 미디어의 CEO 그렉 마페이는 모건 스탠리에서 투자자들을 만나는 자리에서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그랑프리를 늘리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FIA도 돈을 벌고, 팀도 돈을 벌고 우리도 돈을 벌게 된다. 물론 한계는 있다. 차를 전세계로 보내야 한다. 하지만 나는 우리가 어느 정도는 레이스를 늘릴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나는 라스베가스 나이트 레이스가 좋다. 하지만 새롭게 들어온다면 돈을 더 지불해야 할 것이다."
생각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있네요. 리버티 미디어가 천문학적은 돈을 들이며 F1의 최대주주가 된 이유는 F1을 위해서가 아니라 돈을 벌기 위해서이니 일정부분 이해합니다만 과연 현재의 21개 그랑프리 이상으로 레이스를 늘릴 수 있을까요? 로스 브론이 리버티에 하고 있다는 컨설팅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레이스가 늘어난다면 시청자나 관객의 입장에서는 나쁠게 없습니다. 저같은 팬의 입장에서는 매주말마다 그랑프리가 있다면 좋겠지요. 하지만 F1이 지금보다 많은 일정을 소화할 수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일단 팀들이 버텨낼지 모르겠습니다. 돈이 많은 팀들이야 상관이 없겠지만 돈이 없는 팀들에게 그랑프리가 늘어나는 것은 재앙이 될수도 있습니다.
그랑프리가 늘어나면 단순하게 레이스를 한번 더 달리는 것으로 끝나는게 아닙니다. 일단 레이싱카를 위한 파츠를 더 많이 만들어야 하고 엔진을 비롯한 파워유닛도 더 사용해야겠지요? 백투백 그랑프리가 많아지면 더욱 많은 파츠와 스패어가 필요로 하며 상황에 따라 물류-여행비용의 크게 증가되고 매뉴팩쳐링 인력도 늘어나야 할 것입니다. 하위권팀의 경우 재정적인 지원없이 그랑프리를 증가시킨다면 버티지 못하는 팀이 나올게 분명합니다.
리버티가 F1 그랑프리를 얼마나 늘릴려는 계획인지 모르겠지만 많이 늘리게 된다면 쓰리카를 굴리는것과 비슷한 부담이 될것 같네요. 또한 새로운 그랑프리에는 돈을 더 받겠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기존 그랑프리에 대한 부담을 경감해 줄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버니 에클레스톤은 리버티가 F1을 인수하고 난 이후 그렇게도 원하던 미국내 추가 그랑프리에도 부정적인 상황.. 물론 리버티가 원인이라기 보다는 라스베가스쪽이 에클레스톤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되어 집니다만 어쨌든 에클레스톤이 F1에 남아 있는 동안은 리버티의 의도에 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에클레스톤이 파워게임에 밀려 물러나게 된다면 다른 스토리가 되겠지요?
요새 돌아가는 상황을 보면 어쩌면 에클레스톤을 그리워할 날이 올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드네요. 리버티 미디어는 최대주주 등극 이후 '미국 분위기로 F1을 바꾸지 않겠다'라고 하며 기존의 F1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는데 아무래도 이것저것 다 상관없고 돈이 최우선 순위인건 확실해 보입니다. 이러다가 F1이 나스카처럼 겨울 빼고 매주 달리고 카테고리도 나누고 그러는게 아닌지 걱정스럽네요.
'F1 > 데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우는 페라리로, 알리슨은 메르세데스로? (0) | 2016.11.18 |
---|---|
샤를 르클레르 GP3 위해 F1 연습주행 포기 (0) | 2016.11.18 |
리버티 미디어, F1 그랑프리 늘릴 수도 (15) | 2016.11.17 |
론 데니스 결국 맥라렌 회장직에서 물러나 (4) | 2016.11.16 |
베르스타펜은 세나와 비교 가능 - 베르거 (3) | 2016.11.16 |
버니 에클레스톤, 인터라고스 인수에 관심 (2) | 2016.11.15 |
-
Meer 2016.11.17 18:10 떠나간 팬심을 잡는게 우선인것 같은데 일정을 지나치게 늘리는것은 빅팀들도 반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harovan 2016.11.18 15:54 신고 그러게요. 빅팀들이라고 무조건 반기지는 않을것 같네요.
-
yanwhenlee 2016.11.17 18:34 f1 일정상 한시즌 20시리즈 이상은 무리라고 판단됩니다! 아무리 돈이 좋다고 하지만 이건 버니 영감보다 더 심한 돈독에 올라 있다고 밖에 생각이 들지 않네요~
-
harovan 2016.11.18 15:54 신고 25 그랑프리만 되어도 자우버나 매너 같은 팀은 배겨나기 힘들것 같습니다.
-
필명 2016.11.17 21:03 F1에도 나스카마냥 플레이오프 도입될 확률도 있을지 모르겠네요
-
harovan 2016.11.18 15:55 신고 그럴지도 모르지요. 아니면 토요일 레이스를 만들게 될지도...
-
Stewnerds 2016.11.17 22:53 F1이 인기가 정말 많아서 텍사스랑 네바다에서 백투백으로 열어도 둘다 매진 시킬수 있을 정도면 팀들한테 배당을 더 주면 되니 해볼만 하겠지만
현실은 싱가폴 들어오니 말레이시아 날아가는 형국이라 어려워보이는군요 -
harovan 2016.11.18 15:55 신고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1년을 쌩으로 버티라면 하위권은 극도의 재정불안에 떨어야 할것 같네요.
-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11.17 23:43 저런 살인적인 근무환경을 견뎌낼 수 있을까요~ 돈 이전에 말이죠...
-
harovan 2016.11.18 15:56 신고 살인적인 근무환경이라도 돈을 많이 주면 버티기는 합니다만.. 그 정도 돈을 쓸 수 있는 팀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네요.
-
junkbuk 2016.11.18 07:34 지금 일정에도 팀들이 힘들다고 몇 번 한 걸로 아는데 더 늘리면...
-
harovan 2016.11.18 15:57 신고 망할지도 모르지요. 욕심은 언제나 화를 부르기 마련인데 말입니다. 리버티는 F1을 나스카와 다를게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게 아닌가 모르겠네요.
-
불사조라우다 2016.11.18 12:35 요즘 세상 돌아가는게 우려가 현실화 되는건데
F1이 틈만나면 세이프티카 나오고 플레이오프 도입하고 30경기 하고 롤링스타트..
좀더 진도 나가면 샤시 통일? -
harovan 2016.11.18 15:57 신고 ㅋㅋ F1의 나스카화가 되려나요?
-
00 2016.11.18 23:16 라스베가스와 현재 협상중인것은 확실해 보이는군요.
새롭게 들어오려면 돈을 추가적으로 돈을 더 내야 한다는것에 이미 답이 나온거 같은데요.
라스베가스는 기존 개최권료의 2배를 예상하지요. 들어오려면 들어오고 말려면 말아라. 추가적으로 얻는 수익으로 나누겠다는 심산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