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2
- Total
- 3,367,633
Route49
보타스, 베텔 묶어두며 폴투윈 - 2017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본문
퀄리파잉에서 팀메이트 루이스 해밀턴과 페라리의 세바스티안 베텔을 모두 따돌리며 폴포지션을 차지했던 메르세데스의 발테리 보타스가 오스트리아 그랑프리에서 생애 첫 폴투윈을 달성 했습니다.
점프 스타트가 아니냐는 의심까지 받았던 보타스는 스타트부터 치고 나갔습니다. 피니쉬 2-3랩 전에는 베텔에게 압박을 받았지만 대부분의 시간은 별다른 위험도 없었습니다. 러시아 그랑프리 우승에 이어 시즌 2승째로 그동안 해밀턴과 팀메이트 배틀에서 밀리는 양상이었는데 다시 분위기 반전의 기회를 잡았습니다. 러시아에서도 베텔의 압박을 이겨냈는데 이번에도 이겨내며 생애 첫 F1 폴투윈의 경험하게 되었네요.
예상치 못한 기어박스 교체로 5 그리드 페널티를 받았던 해밀턴은 리카도에 막히며 포디움 등극에 실패했습니다. Q2에서 슈퍼 소프트를 사용하는 베팅을 했지만 그리 성공적이는 못했습니다. 2번째 스틴트인 울트라 소프트가 예상보다 일찍 망가지며 리카도 추격 타이밍이 늦어졌고 결국 넘지 못하며 4위에 그쳐 베텔은 챔피언쉽 포인트에서 조금 더 도망가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레드불링의 커브와 소세지는 마음에 들지 않네요.
페라리는 베텔이 2위, 키미 라이코넨이 5위로 컨스트럭터 순위에서는 메르세데스가 더 도망가는 모습을 보아야 했지만 드라이버 챔피언쉽 측면에서는 그리 나쁘지 않은 결과 입니다. 키미 라이코넨을 희생해서 보타스를 묶어두며 베텔에게 추월기회를 만들려고 했지만 새 타이어를 차고 나온 메르세데스는 라이코넨이 방어하기에 너무 빨랐습니다. 베텔은 레이스 초반 페이스가 그리 좋지 못했지만 후반 페이스는 메르세데스 보다 빨랐습니다. 러시아에서 그랬던것 처럼 보타스에 막혔지만 그리 나쁘지 않은 레이스였습니다.
홈그랑프리를 맞은 레드불은 오프닝랩에서 맥스 베르스타펜이 크비얏-알론조의 사고에 엉키며 리타이어 하면서 최악으로 갈 수도 있었지만 리카도의 포디움으로 절반의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메르세데스-페라리를 상대로 5연속 포디움에 오르고 있는 리카도의 능력은 정말 칭찬할만 하네요. 레이스 종료 직전 해밀턴이 리카도 추월을 시도했지만 리카도는 밀리지 않고 곧바로 포지션을 되찾으며 포디움을 지켜냈습니다.
퀄리파잉에서 레드불을 위협하는 페이스를 보였던 하스의 로메인 그로쟝은 6위로 레이스를 마쳤습니다. 2시즌 내내 하스의 브레이크 문제를 거론하고 있고 최근에는 '운전 못하겠다'라는 말도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6위라.. 놀랍네요. Q3에서 차가 서지 않았더라면 조금 더 좋은 결과가 있었을까요? 레이스에서 좋은 페이스를 보이던 케빈 마그누센이 신뢰성 문제로 리타이어 한게 아쉽지만 하스도 좋은 결과를 거두었습니다.
레드불링의 레이아웃은 포스 인디아에게 좋은 기회가 될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지만 결과는 그리 만족스럽지 못했네요. 물론 세르지오 페레즈 7위, 에스테반 오콘 8위는 포스 인디아에게 나쁜 결과는 아지만 하스 그로쟝의 6위를 보면 뭔가 아쉬운게 사실입니다. 슈퍼 소프트로 시작한 해밀턴에게 추월 당하는 모습을 보며 깜짝 결과는 없을거라 생각은 했지만 뭔가 아쉽습니다.
펠리페 마사와 랜스 스트롤이 Q1에서 모두 탈락하는 충격적인 스타트 그리드를 받았던 윌리암스는 더블 포인트 피니쉬에 성공하며 이번 오스트리아 그랑프리에서 가장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고속 코너에서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말이 있었는데 밤새 윌리암스는 이 문제를 잡아냈나요? 다이아몬드 수저 스트롤은 돈으로 바르고 F1 한다는 비난을 받아왔지만 3연속 포인트 피니쉬에 성공했네요.
르노의 팔머는 또다시 11위.. 지난 4번의 레이스에서 3번째 11위 입니다. 이러다가 11위 전문 드라이버 가나요? 레드불링에서는 니코 휠켄버그도 부진하며 르노는 노포인트 피니쉬로 레이스를 마쳤습니다. 레이스 전에는 르노 파워유닛을 사용하는 레드불 듀오와 휠켄버그의 MGU-H에 문제가 발견되어 교체하고 페널티를 받을거란 뉴스가 있었지만 그렇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신뢰성을 올리는 업데이트를 한다고 했지만 별로 그런 느낌은 아니네요.
혼다의 스펙3 엔진을 도입하며 희망적인 신호를 주었던 맥라렌은 포인트 없이 레이스를 마쳤습니다. 페르난도 알론조는 레이스가 시작되자마자 크비얏에게 격추 당했고 스토펠 반두른은 12위에 그쳤습니다. 최근에는 반두른도 실망스럽다는 여론이 있는데 이럴때 포인트 한번 따주는게 중요한데 반두른은 아무래도 머신의 능력 이상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네요.
자우버는 오늘도 노포인트.. 사고와 그로 인한 페널티를 받았던 크비얏만이 자우버보다 아래에 있었습니다. 별로 기대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놀랍지도 않습니다. 토로 로소는 크비얏이 첫 코너에서 과거 그로쟝 스타일의 사고를 쳤고 알론조와 베르스타펜을 한방에 보내버렸고 카를로스 사인즈 Jr.는 파워유닛 문제로 보이는 문제로 리타이어 했습니다.
레드불링은 팬들에게 가장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는 그랑프리를 치른다고 하지만 레이스는 그리 재밌지는 않았습니다. 스타트에서는 보타스가 점프 스타트를 의심할 정도로 좋았던 '인생 스타트'를 했고 마지막에는 베텔을 막아내는 배틀을 보여주기는 했지만 비를 기대했기 때문인지 그리 긴장감은 없었네요. 다음 그랑프리는 일주일 뒤 실버스톤에서 열리는 영국 그랑프리 입니다.
'F1 > 그랑프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영국 그랑프리 관전 포인트 (7) | 2017.07.13 |
---|---|
2017 F1 챔피언쉽 포인트 -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4) | 2017.07.11 |
보타스, 베텔 묶어두며 폴투윈 - 2017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25) | 2017.07.09 |
발테리 보타스 2번째 폴포지션 - 2017 F1 오스트리아GP 퀄리파잉 (8) | 2017.07.08 |
루이스 해밀턴 금요일 선두 - 2017 F1 오스트리아 연습주행 (8) | 2017.07.07 |
2017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목요일 풍경 (11) | 2017.07.07 |
-
재떨이 2017.07.09 22:49 아... 알론소...
-
harovan 2017.07.09 23:18 신고 어쩔수 없죠. 레이스에서 종종 발생하는 일이니..
-
Spark 2017.07.09 22:49 반도른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 수행 안 했나요?
-
harovan 2017.07.09 23:18 신고 했다고 들었습니다. 화면에는 잡히지 않았고요.
-
ㅇㅇㅇㅇ 2017.07.09 23:03 스트롤은 2연속이 아니라 3연속 포인트 피니쉬 아닌가요?
-
harovan 2017.07.09 23:18 신고 제 실수 입니다. 수정했씁니다.
-
yjune9 2017.07.09 23:14 더 늦게 피트인한 같은 슈숖 보타스 타이어는 거의 걸레됐는데 베텔건 깨끗하네요.. 해밀턴 울트라는 본인도 걱정된다고 했지만 막판에 정말 터지는거 아닌가 했슴니다. 그나저나 이러다 해밀턴은 그 엄청난 엔진을 갖고 4년간 겨우 두번(?) 우승하고 마는거 아닌가요? 보타스는 초반 해밀턴의 네임밸류에 잠깐 주늑든 시간을 이겨내고 실력발휘 하는것 같고, 반면 해밀턴 슈솦에 하염없이 나가떨어지는 키미는 이제 그나마 팀메이트 마음에 부담을 주지않는 역활밖에 더 할게 있나싶어 좀 처량해보이네요..
-
harovan 2017.07.09 23:19 신고 그러게요. 페라리 판단은 어차피 정상적으로 갔어도 라이코넨이 해밀턴을 막아내기 힘들었다는 판단이었을까요? 결과론적인 이야기지만 라이코넨으로 베텔에 기회를 주려던 계획은 실패네요.
-
1111 2017.07.09 23:34 크비얏은 본인 의도가 아닌 휠락으로 앞차를 박은거라 비난할 수가 없네요
-
ㅇㅇ 2017.07.09 23:51 보타스가 해밀턴 바짝 추격하는 그림이라 앞으로 팀내부에서는 골치아프게 생겼네요... 여차하면 바로 뒤집혀지는 차이라
-
인간오작품 2017.07.10 00:03 신고 베텔이 보타스의 선두를 한 번도 뺏어보지 못한 건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
ㅇㅇ 2017.07.10 00:16 크비얏의 크래쉬는 작년 러시아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사고였던것 같네요
보타스의 스타트는 프레임을 나눠서 보면 분명 불이 꺼지기 전에 바퀴가 움직인걸로 분석 됬는데 스튜어드들의 판단은 점프 스타트가 아니였나 보군요
-
ㅇㅇ 2017.07.10 00:38 저도 몇번이고 다시 보니 바퀴가 먼저 움직인건 확실한데 스튜어드 판단은 참 이해하기가 어렵네요.. 그걸 본 베텔도 인간이 아니고 ㅋㅋ
-
dddd 2017.07.10 01:08 그것도 무려 0.201초나 늦게 움직였다고 하니 뭐가 기준인지 모르겠더군요 ㅎㅎ
-
dddd 2017.07.10 01:28 https://www.motorsport.com/f1/news/bottas-start-penalty-austria-fia-928763/
요런 기준이 있다는군요 ㅎㅎ -
sin 2017.07.10 01:14 레이스가 생각보다는 재미가 없었습니다...포스 인디아의 경합이 일어날 순위도 아니었고 알론소의 포인트 싸움도 너무 일찍 끝나서....이병규 영구 결번식 본다고 약간 느리게 들어왔는데 벌써 알론소와 막스가 없더군요. 막스는 이쯤되면 리타이어 상황을 계속 맞이하는 것에 대해 생각 한번 해 볼 필요가 있을듯 하네요. 리타가 너무 잦은듯...
-
ㄴㅇㅀㅇㅀ 2017.07.10 01:30 맥스는 스타트가 망하긴 했지만 크래쉬 자체는 뒤에서 일어난 일에 불가항력으로 엮인 거라 어쩔 수가 없었습니다 ㅎㅎ;
-
똑ㄹ 2017.07.10 01:47 라이코넨 진짜 못하네요 은퇴 하는게 낫겠다
-
junkbuk 2017.07.10 06:35 보타스는 어쨌든 운이 좋았네요...
-
fernando X jules 2017.07.10 14:30 신고 보타스는 작년의 로즈버그를 연상시키는 모습이었네요 어떤 상황이든 우직하게 자기 스타일로 경기를 이끌고 올시즌 두번이나 베텔을 떨쳐냈네요
이번 레이스는 보타스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베텔의 그런 푸쉬를 그렇게 침착하게 올시즌 두번이나 벗겨내는 모습이 진짜 실력이라는걸 입증한게 되는 것이니까요 -
ㅇㅇ 2017.07.10 15:11 암만 봐도 점프 스타트고..끝에 딱 한랩만 더있었으면 싶고..한랩만 더..싶은 경주가 한둘이 아닌게 또 F1의 묘미네용 ㅋㅋㅋ
-
marines 2017.07.10 20:01 점프 스타트가 뭔가요??
-
Spark 2017.07.10 21:31 부정 출발입니다.
-
yanwhenlee 2017.07.10 21:53 스타트라인 레드신호 사라지기전에 미리 스타트 하는 거죠! 육상 달리기 종목도 마찬가지겠지만 부정 출발이죠!
-
Dd 2017.07.11 05:26 https://youtu.be/eacGn3ETXig
이거 아닐까요?